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소상공인을 위한 고정비용 부담 완화 정책이 7월 14일부터 본격 시작됩니다. 바로 '부담경감크레딧'이라는 이름의 50만원 공공요금 지원금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지원금의 신청 대상, 신청 방법, 사용처, 주의사항까지 10분 안에 핵심만 콕콕 짚어드립니다.

    📌 정보를 놓치면 50만원을 놓칩니다. 소상공인이라면 끝까지 확인해 주세요!

    ✅ 무엇을 지원하나요?

    정부는 소상공인의 전기, 가스, 수도요금 및 4대 보험료 등 고정 지출을 줄이기 위해 50만원 상당의 크레딧(포인트)카드사 포인트 형태로 지급합니다. 현금은 아닙니다.

    - 지급 형태: 카드 포인트

    - 지원 금액: 1인당 50만원

    - 사용 기한: 12월 31일까지

    - 사용 방식: 등록한 카드로 공과금/4대 보험료 결제 시 자동 차감

    👥 신청 대상은 누구인가요?

    - 연 매출 0원 초과 ~ 3억원 이하 소상공인

    - 2024년 5월 1일 이전 개업

    - 현재 폐업 상태가 아닐 것

    - 정책자금 제외 업종이 아닐 것 (예: 유흥업, 도박, 담배 관련 제조업 등)

    🗓 신청 기간과 방법은?

    - 신청 시작: 7월 14일 오전 9시

    - 마감: 11월 28일 오후 6시까지

    - 신청처: https://credit.sbiz24.kr/landing-page

    - 신청 방식: 온라인 신청 (서류 제출 없음)

    📌 5부제 운영 안내 (7/14~7/18)

    - 7월 14일(월):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1,6

    - 7월 15일(화): 2,7

    - 7월 16일(수): 3,8

    - 7월 17일(목): 4,9

    - 7월 18일(금): 0,5

    💳 카드 없으면 못 받나요?

    맞습니다. 지급 및 사용은 카드 포인트 방식이므로 반드시 9개 카드사 중 하나의 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등록 가능한 카드사: 국민 / 농협 / 롯데 / BC / 삼성 / 신한 / 우리 / 하나 / 현대

    ※ 카드가 없다면 신규 발급 후 등록하시면 됩니다.

    💡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잔액은 국고 환수

    - 공과금·4대보험을 계좌이체 중이라면 카드로 납부방식 변경 필요

    - 카드 납부가 어렵다면 ‘카드 선결제’ 요청 가능

    - 카드 결제만 가능, 현금 수령 불가

    📍 사용 가능한 항목은?

    - 전기요금, 가스요금, 수도요금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산재 보험료

    📌 상가 관리단 등에서 공동 납부하는 경우, 제한이 있을 수 있으나 시도해볼 가치는 있습니다.

    🔎 팁: 자동이체 이용 중이라면?

    - 기존 계좌이체 납부자는 카드 납부 방식으로 변경해야 사용 가능

    - 이미 카드로 납부 중이라면 등록만 하면 사용 가능

    - 카드로 한시적 선결제 요청도 가능 (기관에 직접 전화)

    ✅ 요약정리

    신청 기간: 7월 14일 ~ 11월 28일지원 대상: 연매출 3억원 이하, 5월 1일 이전 개업 소상공인지급 방식: 카드 포인트(현금 X)사용 기한: 12월 31일까지사용 항목: 공공요금, 4대 보험료신청 방법: 부담경감크레딧.kr 접속 → 신청서 작성

    📞 문의처

    - 전용 콜센터: 1533-0600

    - 공식 사이트: https://부담경감크레딧.kr

    📌 마무리 한마디

    50만원 포기하지 마세요! 일단 신청하고 확보해 놓으세요. 쓰든 안 쓰든 내 명의로 받아 두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